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Midjourney 인물 실험기 (프롬프트,스타일,조명)

by 열정 토끼 2025. 11. 14.

Midjourney를 이용해 인물 일러스트를 반복적으로 생성하고 결과를 분석한 실험기입니다. 이 글은 프롬프트 설계 원칙, 스타일 일관성 확보 방법, 조명과 렌더링이 인물 표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제 예시와 함께 설명합니다. 목표는 단순한 미적 결과를 넘어서 재현 가능한 워크플로우를 만드는 것입니다. 실험은 여러 버전의 Midjourney 엔진에서 진행했고, 프롬프트 구성요소(주제·세부묘사·카메라·조명·후처리)를 체계적으로 바꾸며 결과 차이를 비교했습니다. 이 글을 통해 실무에서 쓸 수 있는 체크리스트와 프롬프트 템플릿, 그리고 조명·스타일별 보정 팁을 얻을 수 있습니다.

Midjourney 인물 실험기 관련 사진

프롬프트 설계와 실험 기록 

프롬프트는 Midjourney에서 가장 핵심적인 입력값이며, 원하는 인물 묘사를 얼마나 정확히 얻느냐는 프롬프트 설계 역량에 달려 있습니다. 실험 초반에는 단순히 “portrait of a woman” 같은 기본 문장을 넣어 결과를 관찰했고, 그다음엔 세부묘사(나이, 인종, 표정, 의상, 소품, 배경, 카메라 설정)를 단계적으로 추가했습니다. 예를 들어 “portrait of a mid-30s East Asian woman, soft smiling, shoulder-length hair, wearing a vintage coat, shallow depth of field, 85mm lens, photorealistic, soft rim lighting” 같은 프롬프트는 보다 일관된 인물 묘사를 만들어 냈습니다. 프롬프트를 설계할 때 유의한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우선순위 지정입니다. 프롬프트 내 나열되는 요소들은 모델에 의해 모두 해석되지만, 핵심 요소(예: 성별·나이·표정·의상·주요 스타일)를 앞부분에 배치하면 모델이 이를 더 우선적으로 반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둘째, 모호한 단어는 피합니다. 예를 들어 “beautiful” 같은 주관적 수식은 결과 범위를 넓히므로 피부 톤·표정·조명의 상세 묘사로 대체하면 더 예측 가능한 결과를 얻습니다. 셋째, 레퍼런스 스타일을 명확히 지정합니다. “in the style of Rembrandt”처럼 역사적 화풍을 직접 명시하면 색채·조명 톤 등 스타일적 요소가 강해집니다만, 상업적·저작권 문제를 피하려면 “Rembrandt-like dramatic chiaroscuro”와 같이 묘사적 표현으로 대체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프롬프트 실험 로그를 권장합니다. 한 프롬프트에서 파생된 모든 변형을 캡처하고 변수(엔진 버전, 스타일 규정값, 품질/샘플링 파라미터, 시드값)를 표로 정리하면 재현성이 확보됩니다. 실험에서 유용했던 체크리스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인물의 기초 정보(성별·나이·인종), (2) 표정·눈빛·시선 방향, (3) 의상·소품·헤어스타일, (4) 배경의 밀도 및 색감, (5) 카메라·렌즈·구도(예: 3/4 view, close-up), (6) 조명 타입(soft/harsh, key/fill/rim), (7) 최종 스타일 지시(photorealistic, painterly, cel-shaded 등), (8) 후처리 필터(film grain, color grade). 이들 항목을 변형하면서 얻은 결과를 비교하면 어떤 요소가 결과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또한 명시적 부정 지시(negative prompt)나 제외할 요소를 사용하는 것이 유익했습니다. 예를 들어 “no text, no watermark, no extra limbs” 같은 부정 표현은 불필요한 오류 요소를 줄여 줍니다. 마지막으로 프롬프트는 반복적으로 다듬어야 합니다. 한 프롬프트로 완벽한 결과를 얻기 어렵기 때문에, 베타 테스트처럼 10~30회 생성 결과를 분석해 공통 패턴(예: 피부 톤이 붉게 나오는 경향, 머리카락 질감이 부자연스러운 경향)을 찾아내고 그에 맞춰 수식을 보정하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스타일 일관성 유지와 후처리 전략 

인물 일러스트에서 스타일의 일관성은 포트폴리오 완성도와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직접 연결됩니다. Midjourney는 동일한 프롬프트라도 시드값이나 버전, stylize 값에 따라 결과가 크게 달라지므로 스타일 일관성을 확보하려면 워크플로우 전반에 걸쳐 몇 가지 규칙을 적용해야 합니다. 우선 엔진 버전 고정과 시드 관리입니다. 동일한 엔진(예: v6)이 제공하는 스타일 특성을 활용하면 큰 틀의 색감·노이즈·브러시감이 일정해집니다. 시드(seed) 값을 고정하면 같은 프롬프트에서 재현 가능한 결과를 얻을 수 있어 포트폴리오 내 인물들이 하나의 스타일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다음으로 stylize와 quality 파라미터의 역할을 이해해야 합니다. stylize 값은 모델이 창의적으로 해석할 여지를 조정하므로 낮은 값(예: 낮은 stylize)은 프롬프트에 충실한 결과를, 높은 값은 보다 예술적 해석을 유도합니다. 포트폴리오 스타일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면 모든 생성에서 비슷한 stylize 범위를 사용하세요. quality 값은 렌더링 디테일 및 샘플링 시간을 좌우하며, 고품질 이미지는 후처리(리터칭) 수월성을 높입니다. 실무적으로는 Midjourney에서 생성한 이미지를 포토샵이나 라이트룸에서 일관된 색보정 프리셋으로 보정하는 방법이 효과적이었습니다. 기본 톤 매핑(Exposure, Contrast), 컬러 그레이딩(Shadows Tint, Highlights Tint), 피부 톤 보정(Selective Color)과 같은 단계로 통일하면 원본에서 발생하는 색상 편차를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하이라이트와 섀도의 밸런스를 맞추기 위해 Curves 레이어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 중 하나는 눈 주변 디테일의 흐림인데, 소프트 마스크로 눈 영역만 선택해 샤프니스와 선명도를 올려주면 인물의 몰입도가 크게 증가합니다. 스타일을 문서화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각 프로젝트별로 “스타일 가이드”를 만들고, 톤(따뜻/차가움), 콘트라스트 레벨, 피부 톤 범위, 배경 복잡도, 텍스처(필름 그레인, 캔버스 텍스처 등) 등 항목을 수치와 예시 이미지로 기록하면 팀원 간 일관성을 유지하기 쉽습니다. 마지막으로 레퍼런스 이미지를 관리하세요. 레퍼런스 폴더를 만들어 각 클라이언트나 프로젝트별로 ‘허용된 레퍼런스’와 ‘금지된 레퍼런스’를 분류하면 스타일 유지와 저작권 리스크 모두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조명과 렌더링이 인물에 미치는 영향

조명은 인물 일러스트에서 감정, 입체감, 분위기를 결정짓는 가장 강력한 요소입니다. Midjourney 프롬프트에서 조명을 구체적으로 지시하면 모델이 빛의 방향·강도·색온도·그레인까지 반영하려고 시도합니다. 실험에서 효과적이었던 조명 지시어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three-point lighting, soft key light from the left, warm rim light at 45 degrees, subtle fill light, high contrast, cinematic low-key” 등입니다. 각 조명 세팅의 특징과 사용 팁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소프트 조명(soft lighting): 디퓨즈된 키 라이트와 약한 필 라이트를 사용하면 피부 결점이 덜 보이고 부드러운 인상 연출에 유리합니다. 프롬프트에 “soft diffused light, soft shadows, studio lighting”처럼 구체적으로 적습니다. 패션·헤어 메이크업 포트레이트에 자주 사용됩니다. 2) 하드 조명(hard/cinematic low-key): 강한 그림자와 뚜렷한 하이라이트로 드라마틱한 분위기를 만들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dramatic rim light, hard shadows, chiaroscuro” 같은 용어가 효과적입니다. 인물의 실루엣을 강조하거나 영화 포스터 느낌을 낼 때 적합합니다. 3) 색온도와 컬러 서브라이트: 조명의 색을 지정하면 분위기를 크게 바꿀 수 있습니다. 예: “cool blue fill, warm orange key”는 현대적이고 영화 같은 색 대비를 만들어 줍니다. 피부 톤을 유지하고 싶다면 키 라이트는 자연광(CT 3200-5600K 유사 표현)으로, 서브라이트만 색을 극적으로 바꾸는 식으로 지시하면 무리 없이 결과를 얻습니다. 4) 카메라와 렌더 모드 연동: 조명 지시와 함께 “85mm lens, shallow depth of field, bokeh” 같은 카메라 관련 지시를 넣으면 조명의 효과가 더 현실적으로 보입니다. 렌즈 초점 거리와 조명의 상호작용은 인물의 얼굴 비례와 배경 흐림에 영향을 주므로 구도 의도에 맞춰 함께 조정하세요. 또한 조명 관련 문제 해결법도 준비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예컨대 Midjourney가 지나치게 강한 하이라이트를 만들거나 얼굴 일부가 과도하게 노출되는 경우, 프롬프트에 “no blown highlights, balanced exposure”를 추가하거나 후처리에서 하이라이트를 낮추는 Curves 보정을 적용하면 해결됩니다. 그림자 영역의 디테일 손실은 Shadow Recover 브러시와 지역 대비 조정으로 복구할 수 있습니다. 렌더링 관점에서는 고해상도/고퀄리티 결과물을 대상으로 로우패스 샤프닝과 피부 리터칭을 병행하면 최종 결과가 더욱 자연스럽습니다. 마지막으로 조명 실험은 실제 촬영의 조명 세팅을 참조하면 빠르게 반복 개선 가능합니다. 스튜디오에서의 3점 조명(key, fill, rim)과 같은 기본 원칙을 프롬프트에 그대로 옮겨서 실험하면 예측 가능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프롬프트 예시로는 “studio portrait, three-point lighting, warm key light from 2 o’clock, cool rim light from the back, soft fill from front, natural skin tones”처럼 상세히 적으면 현실감 높은 인물을 얻기 쉽습니다.

결론

요약하자면, Midjourney로 인물 일러스트를 안정적으로 만들려면 체계적인 프롬프트 설계, 스타일 가이드 문서화, 조명·카메라 지시의 명확화, 그리고 일관된 후처리 워크플로우가 필요합니다. 실험 기록을 남기고 작은 변수부터 하나씩 바꾸며 결과를 분석하면 재현 가능한 스타일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자신만의 체크리스트로 프롬프트 템플릿을 만들어 실험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