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백신 기술의 원리와 한계
모바일 백신(모바일 안티멀웨어)은 스마트폰·태블릿 등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악성코드·위협을 탐지·차단·치료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와 서비스입니다. 전통적인 PC용 백신과 같은 기반(시그니처, 휴리스틱 등)을 공유하지만, 모바일 플랫폼의 특성(샌드박스, 권한 모델, 성능 제약, 앱스토어 중심 배포 등)에 따라 설계와 운용에 차이가 큽니다. 본문에서는 핵심 원리(탐지 기법), 운영 모델(클라우드 vs 온디바이스), 그리고 실무에서 마주치는 한계와 회피 기법, 그리고 권장 대응 방안을 정리합니다.1. 탐지 기법(원리) — 어떻게 위협을 찾아내나1.1 시그니처 기반 탐지원리: 알려진 악성코드의 고유한 문자열, 해시(SHA256), 바이트 패턴, 파일 구조 등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파일을 비교해 일치하면 탐지.장점..
2025. 11. 2.
모바일 악성코드의 주요 유형과 분석 기법
모바일 악성코드는 형태와 목적에 따라 크게 트로이목마(권한 탈취·정보유출), 스파이웨어(감시·데이터 수집), 랜섬웨어(데이터 암호화·금전 요구) 등으로 나뉩니다. 이 글은 각 유형의 특징, 일반적인 침투·유포 경로, 탐지 시그니처, 그리고 정적·동적·메모리·네트워크 분석을 포함한 실무적 분석 파이프라인을 단계별로 설명합니다. 또한 사용 가능한 도구와 샘플 분석 예시, 법적·윤리적 유의점 및 대응 권장사항을 제공합니다.1. 모바일 악성코드의 유형별 특성1.1 트로이목마(Trojans)목적: 정상 앱으로 위장하여 사용자 권한을 얻고, 금융정보/계정정보를 훔치거나 다른 악성모듈을 추가로 설치.주요 특징: SMS/전화 권한, Accessibility 접근권한 요청, 백그라운드 서비스로 자동 실행, C2(Comm..
2025. 11. 1.